제1장 한역 불교권의 불교전래 1. 중국의 불교전래 2. 고구려의 불교전래 3. 백제의 불교전래 4. 신라의 불교전래 5. 불교전래의 길
제2장 일본의 불교전래 1. 『증여』로 된 불교 2. 불교전래의 의미 3. 불교수용을 찬성한 호족 4. 타국신과 일본 토착신 5. 카와찌의 백제촌
제3장 일본 최초의 불교사찰 1. 일본최초의 사찰 풍포사 2. 비조사의 창건 3. 비조사와 고대한국 4. 백제의 불교사찰 5. 호족들의 불교신앙 6. 승려와 승려의 통제
제4장 반가상과 미륵신앙 1. 세 개의 법륭사 2. 나니와킷씨와 원사천왕사 3. 하타씨의 광륭사 4. 미륵신앙과 두 개의 미륵상 5. 백제의 미륵신앙 6. 신라의 미륵신앙 7. 반가상과 미륵
제5장 쇼오토쿠태자와 신라불교 1. 견수사의 파견 2. 쇼오토쿠태자와 고구려및 신라불교 3. 반가상신앙의 원류 4. 신라송사 5. 대당학문승과 신라불교
제6장 삼국불교와 사국불교 1. 두 개의 오함사 2. 소가정권의 타도와 한반도 3국 3. 효덕정권과 불교 4. 원효와 의상 5. 섭론종과 도소․정혜 6. 삼국불교와 사국불교
제7장 쇼오토쿠태자 신앙의 변천 1. 쇼오토쿠태자 일족의 멸망과 법륭사 2. 쇼오토쿠태자 신앙과 반가상 3. 성덕태자 신앙과 석가상 4. 태자와 법왕 그리고 대왕
제8장 국가불교의 성립과 신라 1. 서명천황일가의 봉불과 팔각분 2. 산림불교의 계보 3. 또 다른 불교전래의 길 4. 국가불교의 성립과 신라
제9장 우사하찌만과 고대한국 1. 우사하찌만의 특이성 2. 우사하찌만과 도교 3. 카타라의 구리거울
제10장 신라불교와 행기 1. 대수혜원과 토기의 생산자 2. 평성궁의 건설과 이코마 선방 3. 행기의 집단과 사도승 4. 승망과 신라학문승
제11장 동대사 창건과 고대한국 1. 우사하찌만과 동대사의 대불 2. 동대사 창건의 인물 3. 나라불교․나라문화와 고대한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