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저자명

키워드
 
> 도서정보 > 전체도서
환경문제와 국제관계 
신연재 l  발행 : 2023-03-02
 
분야 : 사회과학
정가 : 23,000
판형 : 신국판
면수 : 413
ISBN : 9791167260185
키워드 : 환경문제, 국제관계, 정치
재고상태 : 재고있음
 
   
책소개

환경 문제는 다른 영역의 문제들-정치, 경제, 사회, 안보 등-은 물론, 인간 생활의 핵심 가치들-자유, 평등, 정의, 참여 등-과도 상호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포괄성이라는 속성을 내포한다. 『환경 문제와 국제관계』는, 환경 문제의 이러한 포괄성이 ‘의제 연계성’(issue linkage)을 수반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탈냉전 시대의 국제관계에서 ‘중심 의제군’(high politics agenda)에 진입한 환경 문제가 의제 연계성을 토대로 국제관계의 주요 의제들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환경 문제는 선진국 책임론과 후진국 책임론의 대립, 안보 범주의 확대, 환경분쟁의 증가, 비국가 행위주체의 역할 강화, 세계시민사회의 성장, 지속 가능한 개발의 확산에 영향을 주어 국제관계 전반에 폭 넓은 변화를 초래했다. 『환경 문제와 국제관계』는, 환경 문제가 주요 국제 의제에 미친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좁게는 탈냉전기 국제환경정치의 동향과, 넓게는 이로 인한 국제관계의 변화를 살펴보려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저자소개
울산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명예교수
울산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사회과학대학 학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정치학박사
목차

1장 환경 문제의 개념과 속성 / 

1. 환경 문제의 개념 

2. 환경 문제의 속성 

1) 복합성 

2) 포괄성 

3) 지체성과 불가역성 

4) 초국가성 

 

2장 환경 문제의 지구 의제화 과정

1. 1960년대: 국내 의제화 

2. 1970년대~1980년대 중: 국제 의제화 

3. 1980년대 후엽 이후: 지구 의제화 

 

3장 선진국 책임론과 후진국 책임론의 대립 

1. 기본 가치의 합의 

2. 환경 문제의 원인과 책임  

3. 해결 수단과 방법 

  

4장 안보 범주의 확대와 환경안보 

1. 탈냉전과 안보 범주의 확대 

2. 환경안보의 개념  

3. 환경 문제와 국가안보, 종합안보, 인간안보 

4. 환경 문제와 지역안보, 공동안보 

5. 환경안보의 한계 

1) 개념의 모호성과 다의성   

2) 방법론의 취약성 

3) 국가안보의 존속과 공동안보의 한계 

 

5장 환경분쟁의 증가  

1. 환경분쟁의 개념과 영향 

2. 환경분쟁의 유형 

3. 환경 문제와 폭력분쟁 

1) 자원분쟁과 물분쟁 

2) 기후분쟁 

3) 환경분쟁의 가능성과 한계 

 

6장 물 문제와 국제하천분쟁 

1. 물 문제와 국제하천분쟁 실태 

2. 국제하천분쟁 사례 

1) 중동  

2) 서남아시아 

3. 국제하천분쟁의 원인과 해결 방안 

1) 원인  

2) 해결 방안 

7장 국가와 비국가 행위주체의 역할 

1. 국가 

2. 국제기구 

3. 비정부기구(NGOs) 

4. 국제레짐 

5. 기업 

6.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ies)

 

8장 UNEP의 한계와 개혁 방안  

1. UNEP의 구축과 역할 

2. UNEP의 한계 

1) 대외적 한계: 지구환경 거버넌스의 파편화와 복합화 

2) 대내적 한계: 지위, 조직 구조, 재정, 위치  

3. UNEP 개혁 방안   

1) WEO 창설  

2) UNEP 강화 

4. 개혁 방안의 한계 

 

9장 환경 문제와 NGOs의 역할 

1. 국제 환경 NGOs의 실태 

2. NGOs의 역할과 영향력  

1) 인지(recognition)와 대변(advocacy) 

2) 환경 교육 및 의식의 제고 

3) 의제 설정(agenda setting) 

4) 초국가적 연계 구축과 국제환경협력 촉진 

5) 환경정책 결정 과정 참여 

3. 한계 

1) 독자성의 한계󰠏보완성 

2) 독자성의 한계󰠏종속성 

3) 정당성과 효율성의 한계  

 

10장 세계시민사회의 성장과 환경운동

1. 세계시민사회의 성장 

2. 세계시민사회의 성장과 환경운동의 역할 

1) 네트워크의 구축󰠏동종 복합(同種複合) 

2) 거버넌스의 구축󰠏이종 복합(異種複合) 

3) 병행회의 

3. 세계시민사회의 성장과 환경운동의 한계 

1) 환경운동의 상이성 

2) 환경운동의 불평등성 

3) 국가 중심주의 

 

11장 󰀅지속 가능한 개발  

1. 지속 가능한 개발의 개념 

2. 지속 가능한 개발의 적실성 

3. 지속 가능한 개발의 한계 

1) 개념의 문제 

2) 전략의 한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