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성인 공자의 숭고한 뜻을 오롯이 되살리기 위하여․3
들어가며 ▪ ‘홍익인간(弘益人間)’의 함의(含意) 왜곡을 통해 고전의 본의 왜곡의 단면(斷面)을 본다․8
제1부 공자 사상에 대한 오해와 진실․15
제1장 공자의 사상은 군주를 위한 것인가, 민중을 위한 것인가?․17
1. 공자 사상의 탄생 배경 ― 구세(救世)에의 고민․18
2. 공자 사상의 핵심 : ‘인(仁)’ 사상의 진보적 의의․22
3. 공자의 원대한 그리고 숭고한 정치 이상․25
4. 공자의 사상은 군주를 위한 것이 아니라 분명 민중을 위한 것이었다!․29
제2장 유교(儒敎)는 종교인가 아닌가?․31
제3장 유교의 조상 숭배는 주검 숭배요 귀신 숭배인가?․39
제4장 왕권신수설(王權神授說)과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관념은 공자의 사상인가 아닌가?․45
1. 공자의 충군(忠君) 관념과 후대(後代)의 충군 관념․46
2. 공자의 충군 관념에 내재된 진보적 의의․50
제5장 공자의 사상은 보수인가 진보인가?․57
1. 공자 정치사상의 진보성․58
2. 공자 교육사상의 진보성․61
3. 공자 사고방식의 진보성․66
제2부 논어 풀이에 대한 오해와 진실․69
1. 학이편(學而篇)․71
2. 위정편(爲政篇)․83
3. 팔일편(八佾篇)․96
4. 이인편(里仁篇)․106
5. 공야장편(公冶長篇)․113
6. 옹야편(雍也篇)․129
7. 술이편(述而篇)․140
8. 태백편(泰伯篇)․150
9. 자한편(子罕篇)․153
10. 향당편(鄕黨篇)․162
11. 안연편(顔淵篇)․167
12. 자로편(子路篇)․172
13. 헌문편(憲問篇)․175
14. 위영공편(衛靈公篇)․182
15. 계씨편(季氏篇)․185
16. 양화편(陽貨篇)․192
나오며 ▪ 195
참고문헌 ▪ 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