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저자명

키워드
 
> 도서정보 > 분야별도서 > 인문
공자와 논어, 얼마나 바르게 알고 있는가? 
박삼수 l  발행 : 2019-02-28
 
분야 : 인문
정가 : 10,000
판형 : 신국판
재고상태 : 재고있음
 
   
책소개

이세상에공자와 논어를모르는사람은거의없을것이다.그런데우리는과연공자와 논어 에 대해 얼마나 바르게 알고 있을까? 유감스럽게도 현실은 결코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기득권자를 위한 것으로서 사람을 옥죄는 윤리요 규범일 뿐이라는 등, 유교 문화와 사상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하면서 공자 사상에 대한 오해, 심지어는 반감까지 깊어 진 듯하다.
사실 후세의 각급 통치자들과 기득권 세력들은 그들의 권력과 권위를 지키기 위해 의도적 으로 공자의 사상을 왜곡 악용하였고, 그 결과 뭇사람들이 받은 인상(印象)과 가진 인식 속에서 공자 사상과 유교 문화는 부정적인 것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공자 와 논어 에 대한 오해와 왜곡이 엄존하는 현실을 직시하고, 진실이 무엇인지, 성인 공자 의 본의가 무엇인지 가능한 한 바르게 알고자 노력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 다공자사상의원전(原典)인 논어를깊이읽고,그사상의본연과실체를바르게이해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자와 논어, ... (지혜의 바다)는 바로 울산대 박삼수 교수가 성인 공자의 숭고한 뜻을 오롯이 되살리기 위하여 공자와 논어 에 대한 오해와 진실의 실체를 하나하나 밝혀 우리의 올바른 이해와 수용을 돕는 저술이다. 책 제1부에서는 공자의 사상은 군주를 위한 것 인가, 민중을 위한 것인가?‘’유교(儒敎)는 종교인가 아닌가?‘’유교의 조상 숭배는 주검 숭 배요 귀신 숭배인가?‘’왕권신수설(王權神授說)과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관념은 공자 의 사상인가 아닌가?‘’공자의 사상은 보수인가 진보인가?’등 공자 사상의 문제를, 제2부 에서는‘ 온고지신(溫故知新) ‘’, 극기복례(克己復禮) ’등 논어 의 근(近) 오십 구절에 대한 풀 이의 문제를 각각 논하며 그 시비를 따져 가렸다. 속담에‘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했던가? 오늘날 우리 사회에는 애초에 잘못 안 것인 줄도 모르고, 이런 저런 부정적인 인식으로 공자 사상을 오해하고, 이런 저런 편견과 선입견으 로 유 교 문 화 를 배 격 하 는 경 향 이 없 지 않 다 . 그 것 은 필 시 핵 심 개 념 인 인 ( 仁 ) ʼ과 그 표 현 형식으로서의 예(禮)ʼ 그 표현 방법으로서의 중용ʼ을 긴밀히 결합시킨, 공자 사상의 본의와 진의(眞義)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리라. 공자 사상의 숭고하고 성명(聖明)한 뜻 을 바르게 알고 성실히 체득해 나간다면, 만인을 사랑하는 인심(仁心)과 도량의 위력을 실 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마냥 기왕의 피상적이고 부정적인 인식과 편견에 갇혀 그 진 수를 맛보지 못한다면, 오히려 그로 인한 굴레와 고통으로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 노릇이 되고 말 것이다. 성인 공자의 깊은 뜻을 바르게 알고 이해하며 수용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 은 성인을 위해서가 아니다. 바로 인간성의 상실과 가치관의 왜곡이 심각한 지경에 이른 오늘날, 성현의 가르침에서 인생의 올바른 길을 찾아야 하는 우리 자신을 위해서다.

저자소개
저자소개

박삼수 교수/
경북대학, 타이완대학, 성균관대학 각각 중문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
미국 메릴랜드대학 동아시아언어학과 방문교수
현재 울산대학 중문학과 교수 (중국 산동사범대학 대학원 교외논문지도교수를 겸임)
목차
머리말 ▪ 성인 공자의 숭고한 뜻을 오롯이 되살리기 위하여․3
들어가며 ▪ ‘홍익인간(弘益人間)’의 함의(含意) 왜곡을 통해 고전의 본의 왜곡의 단면(斷面)을 본다․8

 제1부 공자 사상에 대한 오해와 진실․15
제1장 공자의 사상은 군주를 위한 것인가, 민중을 위한 것인가?․17
  1. 공자 사상의 탄생 배경 ― 구세(救世)에의 고민․18
  2. 공자 사상의 핵심 : ‘인(仁)’ 사상의 진보적 의의․22
  3. 공자의 원대한 그리고 숭고한 정치 이상․25
  4. 공자의 사상은 군주를 위한 것이 아니라 분명 민중을 위한 것이었다!․29
 
제2장 유교(儒敎)는 종교인가 아닌가?․31

제3장 유교의 조상 숭배는 주검 숭배요 귀신 숭배인가?․39

제4장 왕권신수설(王權神授說)과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관념은 공자의 사상인가 아닌가?․45
  1. 공자의 충군(忠君) 관념과 후대(後代)의 충군 관념․46
  2. 공자의 충군 관념에 내재된 진보적 의의․50

제5장 공자의 사상은 보수인가 진보인가?․57
  1. 공자 정치사상의 진보성․58
  2. 공자 교육사상의 진보성․61
  3. 공자 사고방식의 진보성․66
 
제2부 논어 풀이에 대한 오해와 진실․69
1. 학이편(學而篇)․71
2. 위정편(爲政篇)․83
3. 팔일편(八佾篇)․96
4. 이인편(里仁篇)․106
5. 공야장편(公冶長篇)․113
6. 옹야편(雍也篇)․129
7. 술이편(述而篇)․140
8. 태백편(泰伯篇)․150
9. 자한편(子罕篇)․153
10. 향당편(鄕黨篇)․162
11. 안연편(顔淵篇)․167
12. 자로편(子路篇)․172
13. 헌문편(憲問篇)․175
14. 위영공편(衛靈公篇)․182
15. 계씨편(季氏篇)․185
16. 양화편(陽貨篇)․192
 
나오며 ▪ 195
참고문헌 ▪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