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다. 4장으로 구성된 1는 문헌연구를 활용하여 아동소비시장의 확산과정을 다루었고, 5장으로 구성된 2부는 저자가 직접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여 현대 한국의 아동소비문화를 기술했다. 1장은 근대 이전의 서양과 우리나라에서 아동관이 다양하게 변천되는 과정과 아동소비를 다루었다. 2장은 근대 이후의 서양과 우리나라에서 아동을 어른과 구별되고 독립된 하나의 인격체로 개념화하는 과장과 아동만을 위한 소비가 증가하는 과정을 기술했다. 3장에서는 양육비와 사교육비를 중심으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아동을 위한 소비지출이 얼마나 크고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2부는 최근에 소비시장에서 프리틴 소비자로 급부상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생 431명을 직접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5장은 아동소비자의 매체이용과 정보원천별 영향, 아동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분석했다. 6장에서는 이타주의, 물질주의 및 소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을 다루었고, 7장에서는 충동소비성향과 충동소비성향에 미치는 변수를 분석하였다. 8장에서는 과시소비성향의 양상과 과시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했고,9장에서는 아동의 윤리적 소비행동을 다루었다. |